트랜스퍼 어플리케이션: FAQs
트랜스퍼의 목적? 트랜스퍼를 하는것이 나에게 맞는 선택인가?
트랜스퍼란, 현재 재학중인 대학교에서 다른 대학교로 편입을 하는것을 일컫습니다.
4년제에서 4 년제로 편입하는 케이스와, 오늘의 포커스인 2년제 커뮤니티에서 4년제 학교로 편입하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4년제에서 4년제로 편입의 경우엔 대학의 Yield에 직결되므로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지리적, 환경적, 사회적, 학문적 요소 그리고 학생의 심리 혹은 정신건강이 우려되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커리어 목표에 현재 대학이 서포트를 충분히 하지 못할 경우; 예를들어 투자를 공부해 월스트리트에서 취직을 하고싶으면 투자은행과 커넥션이 잘 되어있거나 그쪽 메이저가 강한 학교를 찾아 편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편입의 좋지 않은 예로는 애인이 멀리 있어서 그쪽으로 가고싶다; 가족이 보고싶다; 단순히 아이비 리그에 가고 싶다 등의 이유가 있습니다.
트랜스퍼의 첫 단계는 “공부하기”입니다.
편입하고자 하는 학교들의 어드미션 통계자료들을 비교하고 자신의 고등학교와 컬리지 트랜스크립트를 리뷰하여 미리 계획을 짜는 것이 좋습니다. 편입희망, 편입가능 학교들을 리스트로 추리고 가을 또는 봄 중 어떤 학기에 편입을 할 지 고려해야 합니다. 추천서 작업을 미리 계획하고 전공 관련 액티비티(클럽 & 리서치 참여)들을 플랜하여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운셀러 상담도 주기적으로 받아 자신이 편입의 옳은 길로 가고 있는지 아는 것이 좋습니다.
트랜스퍼 준비과정에서 어떤 클래스를 들어야 하며, 어떻게 스케쥴을 짜는가? (타임라인)
무조건 어려운 코스를 많이 듣는것이 최고의 전략은 아닙니다. 사실, 편입 플래닝에 어긋날 수도 있기에 고등학교때 처럼 어려운 과목들을 꽉꽉 채워넣는 접근은 추천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우선순위로는 고등학교때 만약 좋지 않은 성적을 받은 학과목이 있을 시에는 그에 상응하는 과목을 재수강해서 성적 메꾸거나 그 후 편입 요구 과목들 이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편입 하고 싶은 학교 웹사이트에 들어가 트랜스퍼 Requirement를 상세히 공부하며 들어야 하는 과목을 추려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UC는 IGETC라고 불리는 교양과목들이 여러 카테고리별로 있습니다. 과학, 라이팅, 철학, 사회학, 아트 등 카테고리별로 몇 과목씩 이수 해야 편입 조건을 충족합니다. 교양과목 외에 특정한 메이저들은 메이저 준비 과목들도 들어야 트랜스퍼가 가능합니다. 일렉티브 선택에서는 특이한 과목을 선호하는 방향이고, 넓은 학문적 호기심을 선호 하기에 다방면으로 들으면 좋습니다. 많은 편입 준비생들이 아는 유용한 웹사이트 ‘Assist.org’에서 현재 재학중인 학교와 편입 타겟 학교를 사이트상에 선택하면 충족해야 할 클래스들을 나열해 줍니다. 편입하는 해의 봄학기 까지 이수를 완료하면 되니 거기에 맞게 계획해서 미리미리 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올해 가을학기 편입예정이라면 올해 봄까지 필요한 클래스들을 들으면 됩니다. 재학중인 학교의 카운셀러와 코스 플래닝을 잡거나 전문 입시 컨설팅, 아이앤트에 문의해하여 깔끔한 편입준비를 추천드립니다.
트랜스퍼 어드미션 vs 프레시맨 어드미션 확률?
일반적으로, 트랜스퍼 입학률이 프레시맨 입학률보다 낮습니다. 학교의 명성, 경쟁성, 공석에 따라 달라지고 인기있고 까다로운 학교들은 프레시맨 만으로 Yield가 채워져 공석이 거의 없기에 트랜스퍼 입학률이 낮습니다. 또한 인기 있는 학교일수록 한번 등록한 학생이 자퇴하는 일이 드물어 자리가 쉽게 나질 않습니다. 극단적인 예이지만 하버드는 83% Yield인데 그럼 채워야 할 자리 중 17%만이 트랜스퍼와 웨잇리스트 학생으로 채워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프린스턴은 2018년도에 겨우 1429명중 13명의 편입생들을 선발하였습니다.
하지만 다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NACAC 통계에 의하면 매해 편입 지원자 62%가 편입을 성공합니다. UC같은 경우 지난 10년간의 트렌드로 보았을 때, 신입생 입학률은 감소하고 편입생 입학률은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프레시맨으로 지원 했다가, 몇년 후 같은 학교에 트랜스퍼를 지원 할 경우에는 대부분의 학교들은 처음 지원하는 학생에게 우선순위를 줍니다. 그러므로 한번도 지원하지 않았던 학교에 트랜스퍼 지원을 하면 합격 확률이 올라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같은학교에 지원할 시, 몇년 전 처음 지원때 보다 성적, 액티비티 등의 Improvement가 확실히 보여야 하는 것을 염두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언제 트랜스퍼를 해야할까?
가을/봄학기 편입에서는 다른 편입생, 입학생들과 과목 이수 단계 싱크 맞춤을 위해서 가을학기 추천합니다. 편입 플래닝 스케쥴에 차질이 생겨 제 시간에 필요과목 이수를 못 했을 시, 가을학기 못한다고 좌절말고 한학기 늦추어 봄학기 편입 도전하는 것도 좋습니다.
2학년 vs 3학년 편입에서는 2학년 편입은 보통 편입을 하려는 대학이 그에 맞는 1년 편입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그 프로그램에 맞추어 2학년으로 편입이 가능합니다.
그런 1년 편입 프로그램이 없을 시에는 2년동안 충분한 준비를 한 후에 3학년으로 편입하는 것이 합격 확률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커뮤니티 컬리지에서 2년동안 편입을 준비 하다보면 Associate 학위 또한 노려볼 수 있습니다. 편입 원서상에도 현재 재학중인 커뮤니티 컬리지에서 Associate 학위를 받을것인지 물어보는데, 꼭 필요하지만은 않습니다. AA/AS 학위를 받으려면 그만큼 많은 클래스를 들어야 하므로 편입 후 상대적으로 들어야 할 과목이 적어집니다. 특히, 자신이 편입 후 전공하고자 하는 과목에 해당하는 학위를 따 놓으면 더 좋습니다. 하지만 커뮤니티 컬리지에서 편입하기 위해 들어야 할 과목이 이미 빠듯하다면, 굳이 학위를 딸 필요는 없습니다.
트랜스퍼 어플리케이션 데드라인은 프레시맨 보다 보통 더 늦게 2-3월에 걸쳐 있습니다. 하지만 더 많은 서류를 요구하고 준비할것 도 많기에 오히려 더 일찍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Registrar’s Report, Dean’s Report, Professor’s Report, Midterm Report, 그리고 고등학교때의 서류를 준비하는데에 보통 시간이 굉장히 걸립니다. 각각의 인사들에게 서류 요청을 하면 학교측에서 직접 보내기 때문에 최소 1달은 염두해 두고 미리 물어보는 계획을 짜는 것이 좋습니다. 편입 희망학교 웹사이트에 들어가 요구하는 서류들, 그리고 접수 데드라인들을 정리해 보고 해당 학교 어드미션 오피스에 전화 해 담당자와 함께 리뷰 하고 팁도 제공받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트랜스퍼 어플리케이션: 고등학교때 이루었던 활동들 vs 커뮤니티 컬리지에서 한 활동들?
2학년으로 편입 시에는 고등학교와 대학교 활동 모두가 필요합니다. 2 학년 편입할때에 1 Year 트랜스퍼 프로그램이 있는 4년제 학교들이 존재합니다. 1년 플랜 또한 고등학교 성적 기입을 요구하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3 학년으로 편입 시에는 대학교에서의 활동을 중시합니다. UC 편입 원서의 경우, 현재 고등학교 성적 기입은 하고 있지 않습니다. 액티비티 리스트는 원서상 액티비티 기입 순서도 유의미하므로 가장 최신 순으로 나열해야 합니다. 액티비티들 중에는 대학 리서치, 클럽활동, 또는 액스트라 커리큘러 액티비티(봉사, 독립 프로젝트, 대회, 자격증)들 등이 있습니다. 편입해서 떠날 학교라고 해도, 재학중일 동안 최대한 많이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ersonal Statement 또한 대학생때 한 일 위주로 에세이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때, 왜 현재 대학에서 트랜스퍼를 하고 싶은지, 왜 해당학교로 트랜스퍼를 하고 싶은지. 해당학교의 자신이 신청 할 전공 디파트먼트 리서치 후 서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편입 학교 아카데믹 어드바이져와 연락 해 조언 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트랜스퍼 학생도 학자금 & 장학금 가능한가?
거의 대부분의 경우, Financial Aid (FAFSA) 신청이 가능합니다. 몇몇 대학은 학자금 신청을 하지 않는 편입생을 선호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 부분은 학교 개별마다 다르니, 어드미션에 연락해 학자금 신청이 합격률에 영향이 있는지 꼭 물어보아야 합니다. Federal loan을 받고 있는 경우, 학교간의 직접적인 트랜스퍼가 불가능하므로, 학생이 직접 FAFSA 업데이트를 해야 합니다. Perkins loans과 같이, Loan 종류에 따라 편입시 잃는 경우에는 재 신청이 필요합니다.
트랜스퍼 스칼라십은 2년제 커뮤니티 컬리지에서 편입하는 학생들 대상으로 주는 장학금입니다. 그것말고도 private organization, 예를 들어 유명한 Pearson이나 Jack Kent Cooke 재단에서도 편입생 스칼라십을 매년 제공합니다. 매년 14%의 편입생들이 메릿 베이스 스칼라십을 받습니다. 편입 시, 전 학교에서 받던 학교내에서 주는 장학금은 더이상 받지 못합니다.
Federal, state 그리고 institutional 그랜트들도 편입생들에게 가능합니다. 예로 들어서, Cal Grant는 신입생, 편입생에게 모두 제공합니다.